이번장에서는 전력전자에 들어가기 앞서, 간단한 전공 지식들을 되짚어 볼까 한다.
직류와 교류
직류(DC : direct current)
-시간에 따라 흐르는 방향이 변하지 않는 전기(전압, 전류)
-극성이 고정(배터리: 화학적 반응이 한 쪽 방향으로만 발생 -> 극성이 고정)
교류(AC : alternating current)
-시간에 따라 그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
직류모터
-모터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직류 전류가 필요한 모터
-전류의 크기와 토크가 직접 비례
-전류의 극성에 따라 토크의 극성(회전력 발생 방향) 결정
교류모터
-모터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2상 이상의 교류 전류가 필요한 모터(일반적으로는 3상)
-전류의 크기, 역기전력과 전류의 위상각에 토크가 비례
-전류의 주파수와 회전속도가 비례(동기전동기), 유도전동기의 경우는 비례하는 경향
-각 상의 위상순서에 따라 토크의 극성 (회전력 발생방향) 결정
교류시스템
단상 시스템(single-phase system)
2상 시스템(two-phase system)
-독립된 2개의 전원 (단, 주파수는 같음)
-교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시스템
-1900년대 초반 상용 전원에도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사용하지 않음
3상 시스템(three-phase system)
-독립된 3개의 전원 (단, 주파수는 같음)
-가장 안정적으로 교류 모터를 구동 시킬 수 있는 최소의 상수(number of phase)를 갖는 시스템
>>회전 자계(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는 두 가지 힘 중 하나)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정한 기계적 출력을 낼때 일정한 전기적 입력(맥동이 없음)
-결선 방법에 따라 Y결선과 △결선이 있음 (자동차에는 주로 Y결선을 사용하나, 샤시, 바디 등의 일부 제어 시스템에서는 △도 사용)
추진모터 구동
-운전 조건에 따라 전류의 크기, 주파수, 위상순서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교류 전류가 필요
전력변환기의 종류
'전생했더니 전력전자였던 건에 대하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3장_전력전자공학의 기초(인덕터와 커패시터) (0) | 2024.01.17 |
---|---|
2.2장_전력전자공학의 기초(평균값과 실효값) (0) | 2024.01.16 |
2.1장_전력전자공학의 기초 (0) | 2024.01.16 |
1.2장_기본(반도체의 기초) (1) | 2024.01.08 |
0장_전력전자를 시작하며 (1) | 2024.01.07 |